카카오헬스케어 황희 대표가 언급한 바빌론, 2021년 연매출 3억달러→2022년 10억달러 바빌론·작닥·비즈.ai, JP모건 컨퍼런스 발표...인공지능과 의료 데이터로 디지털 건강관리·비대면 진료 카카오 헬스케어CIC 황희 대표가 최근 공식석상에서 디지털 헬스케어 롤모델 예시로 제시한 해외 기업은 바빌론 헬스(Babylon Health), 작닥(Zocdoc), 그리고 비즈.ai(viz.ai) 등이다. 이들 기업은 공통적으로 이달 10~13일 온라인으로 열린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주목할 만한 발표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의 서비스는 인공지능과 의료데이터를 통한 환자 건강관리, 그리고 필요할 때 의사를 호출하는 비대면진료 플랫폼으로 요약된다. 고품질 의료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이고 비용 절감을 통한 합리적인 가격을 내세우고 있다.
영국에서 2013년 창업한 바빌론 헬스는 인공지능(AI) 진단을 통한 사전진단, 비대면진료와 필요시 대면진료로 의료비를 절감하는 디지털 건강관리 플랫폼이다. 질병 진단이 아닌 예방에 중점을 맞춘다. 불필요한 병원 방문을 줄이고 중증으로 악화할 수 있는 상태를 미리 예측한다. 특히 전체 매출의 90% 이상이 보험회사로부터 발생하는데, 보험 가입자들의 건강관리를 대신하면서 비용 절감이 가능한 서비스를 내세우고 있다. 바빌론 알리 파르사(Ali Parsa) 설립자 겸 CEO는 JP모건에서 “미국 계약이 일부 체결돼 이번 달 말까지 매달 8000만달러(약950억원)의 수익을 내게 됐고, 올해 안으로 매출액 10억 달러(약 1조 1900억원)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발표했다. 바빌론의 매출은 2020년 7900만달러(약 940억원)에서 2021년 3억2100만달러(약3820억원)로 4배 이상 성장한데 이어 올해 역시 무려 3배 가까운 고속 성장이 예측되는 것이다. 바빌론은 북미, 유럽, 아프리아, 아시아 등 전 세계에 걸쳐 15개국에서 15개 언어로 글로벌 환자 네트워크를 지원하고 있다. 전 세계 이용자는 240만명이다. 이용자의 90% 이상이 별 5개 평점을 주고 95% 이상의 사용자 유지율을 기록하고 있다. 바빌론을 이용하면 이전보다 35%의 비용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빌론은 국가보건서비스(National Health Service)를 하는 영국에서 병원 운영기구인 NHS 트러스트(Trust)에 묶인 병원들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특히 2년 전 기업인수목적회사 스팩(SPAC) 합 병으로 나스닥에 상장하고 미국 시장에 진출, 가치기반 의료모델(Value Based Health Care)을 내놓으면서 가장 크게 기회를 맞았다. 가치기반 의료는 기존 행위별 수가제가 아닌, 의료의 성과가 높고 비용 을 절감하면 인센티브를 주는 미국 공보험 메디케어·메디케이드의 지불제도 정책이다.
파르샤 CEO는“회사의 4년간 연평균 성장률(CAGR)이 230%인데, 이는 에어비앤비 146%, 테슬라 126%, 넷플릭스 74% 등과 비교할 만하다”라며“디지털 의료 혁신으로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디지털 의료 회사 중 하나다. 세계 모든 사람이 고품질의 의료서비스, 접근성, 그리고 가격 경쟁력을 갖추도록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출처 : MEDI:GATE NEWS 22.01.21 https://medigatenews.com/../News/1880367470